반응형

2024/06/27 3

[인사이드아웃] 고정 감정들

2편을 기점으로 새로운 감정들이 생겨났지만중간마다 다른 캐릭터들 속에서도 보여지는 감정들은 항상 5명으로 고정되어있다 이렇게 생각해봤을 때 새로 등장한 감정들은 그저 지나가는 보조적인 캐릭터들이라는 것을 의미한다사춘기를 맞이하는 청소년들은 그들의 감정이 분리될정도고 많은 비중을 관여하지만 사실 성인이 되면서부터는 기쁨과 슬픔 등 다양한 감정들은 원래 그 감정속에서 파생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이 감정들의 수가 늘어나는 것은 특정 연령에만 나타나는 일부 현상이며 결론적으로는 1편부터 함께한 이 감정 다섯 캐릭터가 전체 감정의 대부분을 통제할 수 있다는 전제가 아닐까

문화/영화 2024.06.27

[인사이드아웃2] 주인공 라일리

인사이드 아웃의 주인공배경의 캐릭터 라일리 다른 부분은 이해가 됐지만뭔가 이 부분은 미국식 문화? 그런 모습이 좀 보였다 주인공은 여성 캐릭터였는데생각보다 활동적인 캐릭터로 성장시키고 있다물론 그것에 대한 불만이 있다기보다는 상당히 중성적인 그런 캐릭터 같다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미식축구를 비롯해서 야구나 하키와 같은 꽤 격한 운동이 인기가 많은 것은 안다하지만 여성 스포츠에서도 그런가라는 궁금증이 생겼다  일반적인지는 모르겠지만모션이 많은 격한 운동을 배경으로 하는 것이라면 그것 역시 납득이 가능하다 그저 순정적인 또는 정적인 캐릭터보다는 역동적인 캐릭터를 묘사하기엔이런 격한 스포츠를 즐기는 캐릭터도 더욱 환경에는 어울릴 수 있다는 점이다 라일리라는 캐릭터는 쾌활하면서도 엉뚱한 구석이 있기도 하면서 의외..

인사이드아웃2 2회차 관람기

1차관람기와 더불어 더 깊은 감명을 받는 부분도 있고지난번에 언급하지 않은 부분도 조금 짚고 넘어갈 생각이다  인사이드아웃2는 1편에서 다소 아쉬웠던 부분을 완전히 해소하는 걸 넘어서 자신만의 색을 완전히 가지는데 성공했다그리고 그 중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였지만 조금은 답답했던 캐릭터의 완성된 모습을 보게 되어 한편으로는 기쁘다 인간의 감정으로써 표현되고 있지만 사실 우리가 잘 알듯슬픈 감정이라고 슬퍼야만 할까 우울한 것과 슬픔의 차이는 무엇일까기쁘다는 감정은 과연 그저 기쁘다는 뜻에 얼마나 비중을 둘 수 있을까 인사이드 아웃의 감정들은 처음에는 본질적인 자신의 성향에 집중했다마치 어린아이의 감정과 같았다 이제 본체가 성장하며 다양한 감정들의 등장보다도 기존의 감정들 역시그저 본질적인 행동에만 집중..

문화/영화 2024.06.27
반응형
B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