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06/26 6

나도 나지만 정보를 이렇게 이용하는건 좀..

부동산시장이 좋지 않으니오히려 신난 것은 폭락이들 사이에서 즐기고 있는 업자들 또는 방구석 전문가들 같다 특히 지역 부동산 시장이 좋지 않으니더 신나게 떠들어대는 것 같다   하긴 지방은 분명 인구가 감소하고 있음에도부산과 같이 바다를 끼고 있는 곳의 조망권 때문에 오히려 분양가 상승을 보여주니본인들 생각에 역행한다고 생각해서 더욱 이런 이론을 주입하려고 노력하는 태도가 있다 물론 부산의 조망권 때문에 부동산 시세를 끌어올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옛날과 다르게 부산은 바다를 통한 경제육성이 아니라 제조업 중심의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그저 바다는 항유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락한지 오래됐다  하지만 아무리 지방의 몰락을 점치고 싶다고 해도이런 쓰레기 부동산을 가지고 와서 지방의 몰락을 이야기하는..

북항이 뭐 그렇게 먹을게 있나

다 같은 바다라고 아직도 바다만 바라보는 조망권에 목매는게 맞는 것인지 잘 모르겠다해운대와 수영은 기존의 입지가 있었으니까 그나마 '유지'하는 것이지 앞으로는 그 일대도 얼마나 더 성장이 가능할지는 모른다 이미 수요가 무너졌고 공급도 제대로 될 수 있는 여건도 아닐 뿐더러앞으로 굳이 스카이라인을 높일 수 있는 명분도 부족하다 차라리 공공성을 띄는 상업용 숙박시설을 높이면 모를까아직도 롯데타워를 꿈꾸며 고층주택을 바라보는 이 사회가 정말 여유가 없이 하늘로만 바다로만 가려고 하는구나 싶다

재테크/아파트 2024.06.26

[부산] 잇따른 경찰서 재건축

노후된 경찰서를 새로 지으려는 계획은 많다하지만 경찰서를 철거하고나면 임시로 업무를 할 수 있는 공간을 구하지 못했다고 하더라   가능한 대안으로는 인근의 태광산업 부지가 있어서 협의가 있었지만임대료에 대한 협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협상은 결렬된 것으로 안다 경찰서 측에서는 추후에 대금을 지급할 계획의 협상안을 제시했지만태광 측에서는 일시 지급을 요구했던 것으로 들렸다 하지만 금정구 내에서도 몇몇 대안은 있기는 하지만예산이 부족한 관계로 제대로 된 임시거처를 마련하는게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https://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240208.99002002591 금정·사하경찰서도 새로 짓는다…부산서 잇단 재건축부산지역 ..

휴먼파크장전 사업자 변경

한동안 철거 후 조용하더니 오늘에서야 새롭게 가림막이 변경되었는데가만보니 출입문에 적힌 사업자가 눈에 띄여 급하게 촬영해봤다 기존 사업자는 코오롱이 아니라 디엘이엔씨가 맡고 있던 사업장이었던 것 같은데언제 사업자가 변경되었지?    https://blog.naver.com/yak-bang/223346765635 휴먼파크장전 지주택 시공사 코오롱 변경 / 주택건설사업계획(변경) 승인 고시 - 금정구 장전동 6휴먼파크장전 지주택 시공사 코오롱 변경 / 주택건설사업계획(변경) 승인 고시 - 금정구 장전동 618-1번지 ...blog.naver.com  검색해보니 정말로 사업자가 바뀌었다이유가 궁금하긴 하지만 여태 지지부진하던 디엘이엔씨에 비해 최근 실적도 좋고 평가도 올라가고 있는 코오롱이 사업을 이어서 한다..

재테크/아파트 2024.06.26

구서5구역 건축심의 통과

20240406  부산 구서동에 두실력 인근에 위치한 선경아파트지금의 SK아파트의 전신 모델이기도 하며 두실역 부근에서는 오랫동안 대장 아파트 역할을 해왔던 곳이다 한동안 재건축의 이야기가 돌기도 했었는데실제로 추진은 되고 있었던 모양이다 물론 입지적으로는 나무랄 것이 없다최근 구서역 부근으로 재개발, 재건축이 이루어지고 그 영향으로두실역 부근도 계획을 추진하는 구역도 생기지만 이미 건설에 착공한 곳도 생겨나고 있다   구서동의 일원으로써 포함은 되지만 아직까지는 조금 조용하게 있던 곳인데사실 그게 장점이라면 장점이었다구서역 부근은 너무 복잡하고 산만할 정도다 사실 북적대는게 나쁜 것은 아니지만 구서동구서역 부근은 인구가 더 늘어나면 문제가 되는게 유입인구에 비해 인프라가 너무 열악하다특히 도로환경을 보..

재테크/아파트 2024.06.26
반응형
B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