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960

코오롱마저 부채비율 급상승

코오롱글로벌은 건설사 순위에서는 중위권에 속하긴 하지만 주택분양 비율이 높지 않고 안정적인 재정운영을 하는 곳 중 하나였다. 하지만 건설업의 부진이 장기화되자 코오롱도 어쩔 수 없는 눈치인듯 하다 주변에서 코오롱이 분양하는 광고들이 늘어나는 것은 아무래도 코오롱의 인지도도 한몫했겠지만다른 한편으로는 기반시설을 우선하는 코오롱도 사업 확보가 어려워지는 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10201 상위 30대 건설사도 부채비율 악화…GS건설 등 9곳 200% 넘어 - 연합인포맥스건설 업황 부진이 지속되면서 시공 능력 평가 상위 30개 건설사의 올해 1분기 부채비율이 악화했다.위험 수준으로 간주하..

주담대(주식담보대출) 상환기간, 길게? 또는 적당히?

고민이 많은 부분이다최근에는 인터넷은행 기준으로는 50년까지 상환기간이 늘어나면서 장점만이 아니라 단점까지도 확연하게 보이는 정책이라며 비판을 받았다 하지만 상환기간이 늘어난다는 것은 원금을 더 잘게 조절할 수 있으니 월상환금액을 조절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유튜브 영상에서 이 분의 사례를 보면 35년과 최대 45년 기간중에서 35년을 선택했다  견해의 차이가 있겠지만나는 굳이 기간을 선택할 수 있다면 45년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영상에서 설명하듯 원금은 줄어들지만 원리금이 증가하는 상황이 된다하지만 기간을 늘렸을 때는 35년에서는 200만원이고 45년에서는 180만원으로 줄어든다20만원의 미미한 차이가 있지만 10개월을 적립하면 200만원이라는 한달치 원리금이 적립되게 된다 나라면 부채관리를 이렇게 할 것이..

재테크/아파트 2024.05.22

직구금지법 또 일본에서 시작된 것?

이번 직구금지법이나 중고거래 세법 개정은 전형적인 세금 수탈법에 가까운 정책이다특히 해외구매를 원천적으로 막고자 하는 것은 국내에서 인증을 받은 물품에 제한해서 소비자들이 구매를 강매하는 정책으로써 사실상 한국 내의 인증된 제품에 대한 영향력 강화에 집중한다는 목적성을 가진 것이다    사실 큰 문제가 된다고 보지 않는 사람들도 있겠지만이게 큰 문제가 된다는 것은 두가지다. 첫째는 국내에 정식으로 반입되거나 생산된 제품으로 한정하는 것이고,두번째는 국내 인증이 승인되지 않은 제품의 수입을 원천 차단하겠다는 것이다  여기서 얻을 수 있는 것은 국내에서 인증하는 KC마크의 가격. 가치의 상승이며국가가 인증하는 만큼 이 조건에 부합하기 위해 추가 비용을 국가에서 직접 받겠다는 의미와 같다하지만 이 마저도 외주..

재건축 조합이 위험한 이유

재건축,재개발이 속도는 더디면서 꾸준히 돈은 소비되는데사실 현금도 없는 조합이 어떤 돈으로 경비를 충당할까 대체로 알듯재건축,재개발을 하려고 하는 물건.그 건축물과 땅에 매겨진 가치들로 대출을 받는다 그게 현실이다하지만 그 돈들은 조합원의 돈이지조합장은 본인들이 조합에 포함된 사람들일수도 아닐수도 있다   어쨌듯개발사업에서 수익이 남으려면그 기간을 빨리 단축시키는 방법 뿐이다 하지만 그것을 바라지 않는 사람들도 있기 마련이다조합이라는 존재가 오래 존속해야 돈을 버는 사람들 그 사람들에 의해 사업은 꽤나 오랫동안 지속되기도 한다무엇보다 적절한 시기에 서로 좋게 헤어지는 방법이 좋지만사실 사업의 성사과는 상관없이 본인의 이익만을 누리다가 사업도 무산되는 경우도 상당히 많은 것도 현실이다   하지만 조합원들은..

재테크/아파트 2024.05.20

자주안가는 곳, 그럼에도 오는 이유를 알게되는 이유

하루전인 17일 해운대해수욕장을 찾았다사실 해운대해수욕장이 목표는 아니었다 바로 앞 송림공원을 찾은 것이었는데찾아오기 또 하루전에 본 인스타의 한 사진을 보고 원래 계획했던 곳을 미루고 해운대를 찾았다 결과적으로는 허탕이었다수국사진을 보고 찾았건만 수국은 커녕 아직은 필 준비도 마치지 못한 어린 수국들을 보면서 허탈함에 돌아서려다가공영주차장에 주차한 것도 있고 해운대를 자주 찾지 않을테니 조금 둘러보게 되었다 그렇게 잠시 둘러보니 아쉬운 마음은 뒤로하고 그래도 해운대의 가치, 이유를 찾게된다사실 조경을 망치는 저 흉물스러운 콘크리트 덩어리와 달맞이고개라고 하는 이름에 어울리지 않는 낡은 인간의 욕심들이 남아있는 것이 안타까울 정도였다 만약 저 고층 탑은 어쩌지 못한다면 적어도 달맞이 고개의 저 낡은 것들..

자연경관마저 파괴하며 만드는 도시의 상징, 아파트

2024.03.27-아이에스동서가 용호동에 산 땅 아이에스동서가 용호동에 산 땅이런 땅에? 굳이? 물론 빈땅이다 인근에 공원도 있고 좋은 위치긴 하지만 번화한 다리 건너의 풍경과는 완전 다른 모습 하지만 다른 맹점도 분명 있다 바로 교통이다 한적한 것을 넘어서 고요하black8339.tistory.com 지난번 아이에스 동서가 용호동에 있는 한 부지를 매입했다고 했더니 이 땅에 또 다른 문제가 있었다바로 뒤의 이기대를 가린다는 문제다 사실 여기에 아파트를 세운다는 계획을 보고도 몰랐을까애초에 건설사가 땅을 매입하는 도중에 문제제기를 했다면 굳이 이렇게까지 또 다른 이슈가 될 이유는 뭔가  그리고 굳이 이 위치에 흔한 아파트를 굳이 또 추진해야 하는 이유에 대한 생각도 많다굳이 아파트가 아니면 안되는 이유..

재테크/아파트 2024.05.17

반갑지만은 않은 '전국 최초' 타이틀

솔직히 말하면 아파트가 고급화가 되는것이 지역경제에 무슨 큰 도움이 되나입주민들이나 좋은거지. 심지어는 입주민을 위한 고급화도 아니다외관 고급화가 어떻게 주민들에게 삶의 개선을 불러올 것이며 부가가치를 불러올 수 있지 게다가 이미 다른 건설사들은 갖고 있는 고급브랜드를 특정 건설사는 부산을 시초로 뒤늦게 고급화 전선에 참여했다이는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보다는 부작용이 극에 달했음을 말해주는 것과 같다 대형건설사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상위브랜드도 아님에도 굳이 고급화 브랜드를 만들어 재개발/재건축 시장에서 밀려날 수도 있는 경쟁력을 이름값에서 찾겠다면 잘못되도 한참 잘못된 것이다   건설사가 팔아야 할 가치는 결코 자신의 이름값이 되어서는 안된다그 잘못된 영업전략이 후세대에게는 권력이 되어가..

재테크/아파트 2024.05.17

서울 30대가 아파트 대신 매수하고 있는 것들

"꼭 아파트 살 필요가 있나"사실 어투가 참 웃기고 다르게 보면 건방져 보이기도 하고 그래보인다  앞에 지역만 빼면 젊은 사람들도과도하게 비싼 아파트를 포기했나 싶겠지만 앞에 '서울'이 붙는 순간이 헤드라인의 내용은 단번에 역전된다 '살 필요가 있나'의 의미는정말 선택권을 가진 사람들이 이야기하는게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30대는 이것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못사니까' 빌라를 매입하는 것을 이런식으로 포장하는 것은 도대체 기자들의 정신이 얼마나 땅으로 향하는지가 더 궁금해진다 그리고 조금만 아파트 값이 오르면 '회복세'를 강조하며 거기에 속아 비싼값이 매수한 주택들이 다시 경매로 나오는 악순환을 겪는 것은 전부 젊은 층의 회복기대감에 섣불리 매입하는 곳에서 나타나는 징후라고 생각하는게 맞을..

재테크/아파트 2024.05.17
반응형
B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