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테크 449

부산에 필요한 것은 '하이엔드'가 아니다. [시민공원 촉진 2-1]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4011413312498079 ‘촉진 2-1구역’ 삼성·포스코 경쟁 불 붙어 부산 시민공원 촉진2-1구역 재개발 투시도. 삼성물산 제공 사업비만 1조 원이 훌쩍 넘어 부산의 ‘대어’로 손꼽히는 부산진구 ‘시민... www.busan.com 지금 생각하면 부산시민공원이 어떻게 가능했나 신기할 따름이다 이렇게 넓은 땅에 만약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다면 부산의 랜드마크가 되었을까 하지만 그럼에도 잠시 시민공원 주변으로 시민공원이라는 프리미엄을 빌미로 재개발을 동서남북으로 진행하려 한다 시민의 공원이라는 이름과 무색하게 자신들의 전유물 정도로 만들려는 개발 의지를 본다면 참 이기적인 역사는 끊기지를 않는구나 싶은 것이다 촉진..

재테크/아파트 2024.01.19

24평(59㎡)의 인기는 한시적일까

3년전쯤의 분양 시장에서의 분양가를 기준으로 하면 24평(59타입)이 2억~3억이었고 34평형(84타입)은 5억 정도에 분양가가 정해졌던 것 같은데 지금은 분양가는 아니지만 24평과 34평의 가격차이가 많이 좁혀진 것 같다 34평형은 가격이 유지가 되거나 오히려 떨어졌고 24평형은 34평형과의 차이를 많이 좁혀놓았다 예전에도 한시적으로 이런 부동산 이슈가 한시적으로 있기도 했었다 하지만 지금의 유행변화가 그저 한시적이라고만 생각할 수 있을까 인구는 감소하고 가족의 수도 줄어드는 지금 시점에서는 오히려 이게 정방향이 아닐까 물론 앞으로 아파트에 몰리는 수요가 더 있을지도 알 수 없다 아파트가 편리해서 살고 싶어했던 것이지 아파트가 고급이라던가 그런 마케팅성 홍보도 이제는 약발이 다 되었다고 생각하면 될 것..

재테크/아파트 2024.01.12

[아파트] 많이 오르긴 올랐나보다

부산은 지금 당장은 이 두곳의 청약 결과가 나왔다 한쪽은 미달이고 한쪽은 마감이라고 떴지만 수치상의 오차는 분명히 있을 수 있다 게다가 마감이 됐다 해도 한자리 수의 경쟁률인 이상 이 부분은 크게 유의미한 숫자는 아니라고 본다 어쨌든 몇년전만 해도 부산에서 9억이라니 엄청난 프리미엄이 붙어도 9억이 말이 되나 그나마도 7억에 나온 아파트가 비싸다는 말이 엊그제 같았는데 분양가가 9억이라니 심지어는 이름도 모르는 회사의 아파트가 이제는 5억을 바라본다 물론 사상...? 하여튼 사상역 인근에 생긴다고 해서 입지적으로는 좋다면 좋다 앞으로 이곳도 많은 철도가 통과하는 중심지고 원래부터도 서부산의 관문역할을 하던 곳이니까 하지만 태생적인 한계도 여전하다 서부산이라는 점의 한계는 앞으로도 계속이어질 것 같다 동래..

재테크/아파트 2024.01.12

더샵 금정위버시티

금정구 부곡동에 분양예정인 더샵 금정위버시티 대단한 상급지라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분위기를 보니 분양가도 평당 2천이나 된다고 하니 그만큼 큰 매럭을 보기에는 과한 가격이라고 생각되긴 한다 금정구 내에서도 위치적인 장점은 있지만 너무 큰 가격을 따질 정도는 아닌 적당한 가성비를 따져 볼 필요가 있는 위치다 물론 다른 지역에 비해 평탄한 위치에 산성터널과 윤산타널이 인근에 있어 자차 교통은 그런대로 좋은 편이라 볼 수는 있다 바로 길건너에 원래는 롯데마트도 있었지만 지금은 주상복합이 예정되어 있다 어느때부터인가 만성으로 정체되는 사거리인데 이렇게 아파트가 많이 들어서면 더 혼잡해질 것 같다 하지만 사실 집 앞이 혼잡해진다는게 마냥 나쁜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교통이 불편함으로 인해 개선의 요구와 개선을 ..

재테크/아파트 2024.01.12

아파트라는 건축물의 한계

'집'이라고 하는데 집이라고 하는 것은 가장 안전한 공간. 공간이길 바라는 건축물의 하나다 아파트라는 주거형태는 그 '집'이 부족해서 같은 대지 면적에서 더 많은 세대를 늘릴 수 있는 획기적인 공동주거형태다 아파트가 등장하기 이전에는 빌라라는 건축물도 있었고, 다세대주택과 같은 특이한 공동주택의 형태도 있었다 엄연히 말하면 아파트가 등장하는게 꼭 빌라나 다른 주거형태보다 늦게 나타난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가장 좋은 환경의 주거형태라고 믿기 시작한 시대이다 지금이. 편안한 집을 만들기 위함이라고 하지만 건설현장의 환경은 점점 더 나빠지는 것 같다 더 빨리 더 많은 세대 수를 단지에 배정할 수 있어야 하고 더 첨단 시스템으로 포장하려고 하며 더 멋있어보이려고 하는 행동들 말이다 하지만 집이라는 원초적인 주거..

재테크/아파트 2024.01.05

사라지는 부산의 마트들

부산에서 많은 대형마트들이 폐점을 발표하고 있다 정말로 전방위적으로 많은 마트들이 떠나고 있다 2023.05.17 - 220526_홈플러스 부산개금점 마지막 220526_홈플러스 부산개금점 마지막 최근에는 개금점에 이어 연산점도 폐점을 예고했다 black8339.tistory.com 2023.12.13 - 서면 홈플러스 폐점 확정 서면 홈플러스 폐점 확정 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3121018312849093 서면 홈플까지… 오프라인 매장 폐점 도미노 오프라인 유통업체의 폐점이 도미노처럼 이어지고 있다. 부산 서면에서 20년 넘게 영업을 이어오 black8339.tistory.com 이 외에도 부암동에 위치한 롯데마트 부산점 역시 철수를 결..

재테크/아파트 2023.12.29

태영건설 워크아웃 임박… 부산 건설업 “남 일 아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로 유동성 문제를 겪고 있는 태영건설이 이르면 이번주 워크아웃을 신청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시공능력평가 16위인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신청할 경우 건설업은 물론 금융업으로도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부산지역 건설업계도 불씨가 확산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며 현안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부산 부근에도 꽤 많은 건설현장을 가지고 있고 또 분양 준비중인 곳도 많은데다 브랜드도 익숙한 건설사가 워크아웃. 사실상 부도위기라는 것은 상당히 큰 위기가 수면위로 드러나기 시작한 것 같다 이미 몇년전의 문제로 붉어진 문제[강원 레고랜드]가 누적이 되고 부동산 거래가 줄어들고 분양마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모든 것이 악조건인 상황에서 너무도 당연한 결과다 연산동 홈플러스까지 매입해서 건..

재테크/아파트 2023.12.29

금정구 구서SK뷰 인근,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후보지역에 선정

부산 금정구 구서1동 행정복지센터 일원이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후보지로 선정됐다. 국토교통부는 “△부산 금정구 구서1동 행정복지센터 인근과 △경기도 시흥시 시흥대야역 인근 △광주 동구 소태역 인근 3곳을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10차 후보지로 선정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사업은 오래된 저층 주택이 많은 곳을 재개발해 신축아파트와 기반시설을 공급하는 사업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같은 공공기관이 주도해 신속하게 새 아파트를 공급하는 사업이다. 금정구 구서1동은 구서SK뷰 1단지 아파트와 지하철 1호선 사이에 위치해 있다. 1호선 구서역까지 걸어서 갈 수 있는 거리다. 면적은 4만 7000㎡ 정도이며 이곳에 1253호의 신축 아파트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https://www.busan.com/v..

재테크/아파트 2023.12.29

망미주공아파트

20231206 망미주공아파트 입구 사실 부산의 어느 곳을 가더라도 재개발을 한다거나 또는 지연이 되거나 또는 여러 가지 이야기들 듣기에는 아주 좋은 시기다. 그중에서 굳이 망미동을 찾은 이유는 주변의 지역들보다는 찾기가 쉽지 않고 그렇기에 분위기를 느껴보려는 생각으로 가볍게 찾아왔다 내가 사는 곳에서 여기까지 오는 일은 생각보다 쉽지는 않았다 여러번 걸쳐서 오는 정도는 아니었지만 굳이 이런 사진이나 찍자고 방문하기엔 애매한 접근성이었다 정도 거리는 꽤 북적이는 편이었다 그러는 한편 참 오래된 곳이다라는 느낌도 같이 직접적으로 와닿는 것은 어쩔 수가 없었다 꽤 많은 인파에 사진을 꺼내서 찍는 것이 어색하지 않을까라는 망설임 때문에 많이 찍지는 못했다 자주 보기는 힘들지만 아파트 입구에서 회차하는 시내버스..

재테크/아파트 2023.12.25

답은 존버

사실 무작정 버티기만 하는것도 방법은 아니다 그렇기에 적어도 기본적인 기업분석이나 또는 대표주를 관망하고 적정시기를 봐야한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이건 운도 따라줘야한다 거진 6개월은 가지고 있었던 종목 같다 솔직히 이제부터 시작이 아니냐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나는 여기까지다 다시 안정을 찾을 때까지는 물러날 생각이다 이유는 명백하다 성장가능성은 있지만 주가에 이미 반영될만큼 반영이 되었고 여기서 더 비중을 두고 매입을 할게 아니라면 이정도의 수익률이 적당한 종목이라 생각했다 국내 종목이 인기가 없는 이유는 역시 수익에 따른 배분에 대한 주주에 나눠주는 배당이 매력적이지 못하고 성장성이 일정하지 않다고 한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그 부분도 각자의 관점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꾸준한 성장성이 부족하다고 한다면 어..

재테크/주식 2023.12.20
반응형
BIG